2010년 12월 9일 목요일

graphene - 0710791 윤지선




graphene을 이제야 올리네요....^^; 허허허허........('_' ;)


탄소는 자연상태에서 쉽게 관찰되는 흑연, 결정을 이루지 않는 그을음, 비싼 보석인보석인 다이아몬드를 이룰 수 있다. 인공적으로 합성된 결정으로는 풀러렌(1985 년), 나노튜브(1991 년),년), 그래핀(2004 년), 그리고 탄소원자 3~6개 정도가 달라붙은 작은 결정이 다수 알려져알려져 있다. 탄소는 최외각전자가 4 개이고, 모두 공유결합에 사용되거나 일부만 공유결합에 사용될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방법이 다양해 앞으로도 다양한 결정이 발견될 것이다.


•그을음은 탄소가 무작위로 붙어 생기는 검은 가루(검뎅)이다.가루(검뎅)이다. 몸에 유독하여 폐에 들어가면 폐 기능이 크게 떨어진다. 일반적인 미생물은 그을음을그을음을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분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지질시대부터 대규모대규모 산불이 일어나면 많은 그을음이 생성되고, 이것이 침전되어 퇴적층에 고스란히 남곤 했다.했다. 따라서 지층 속에 나타나는 화재의 원인을 추적하여 화산 폭발, 운석 낙하낙하 등 지질학적 사건을 밝히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원시 인류 거주지에서 숯과 그을음을그을음을 발견하여 불 사용유무를 추정하는 것도 이들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때문이다.
불완전 연소하는 가스불, 촛불, 장작불 등에서는 거의 항상 그을음이 생긴다. 탄소가탄소가 열에 의해 유리됐다가 산소 부족으로 산화하지 못하고 불꽃을 빠져나오면서 서로 엉겨붙기엉겨붙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는 탄소 원자가 갖고 있는 네 최외각전자가최외각전자가 모두 주변 탄소 원자와 공유결합한 물질이다. 모든 전자가 탄소원자에 묶여있기 때문에때문에 광학적으로 투명하다. 또 결정에서 탄소 원자 하나를 떼어내려면 네 개의 공유결합을공유결합을 동시에 끊어야 하기 때문에 떼어내기가 어려워 매우 단단한 특성을 갖는다.
다이아몬드는다이아몬드는 특이하게도 천연상태의 모든 물질 중에 굴절율과 열전도율이 가장 크다. 그러나 열전도율이열전도율이 큰 물질 중 유일하게 전기전도는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제조 기판으로 유용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인공적 제작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있다.
다이아몬드는 땅 속 깊은 곳에서 만들어져 화산 폭발과 함께 지각 위로위로 노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명확한 매커니즘은 밝혀져 있지는 않다. 우주에서 낙하한낙하한 운석에서도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생성원리는?

•흑연은 세세 개의 전자가 주변 탄소와 공유결합하고, 한 개의 전자가 공유결합에 사용되지 않은않은 결정이다. 한 원자가 세 개의 공유결합을 할 경우엔 평면을 이루려는 성향이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흑연 결정은 층층이 쌓인 지층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나머지나머지 한 전자는 층 사이에 비교적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상태가 된다. 원자 하나마다하나마다 전자가 하나씩 내놓아 특정 원자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상태를 (보통(보통 금속에서) 자유전자라고 부른다. 자유전자가 있기 때문에 흑연은 전기를 잘 통한다.

•풀러렌은 탄소 원자 60 개가 공 모양으로 뭉친 결정이다.결정이다. 그 모양이 축구공 거죽 모양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보통 축구공에 비유되곤비유되곤 한다. 이때 어떤 원자는 3 개, 어떤 원자는 4 개 전자를전자를 공유결합에 사용하기 때문에 소수의 전자가 자유전자가 된다. 이 전자들은 초전도 현상을현상을 일으킨다.
풀러렌은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백금(Pt)같은 큰 원자나 수소(H) 분자같은 작은작은 분자를 가두거나 보관하게 만들어 응용할 분야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재까지 계속계속 연구만 되고 있다. 만들어질 때 보통 큰 압력과 온도를 필요로 하기하기 때문에 자연계에서는 잘 형성되지 않고, 운석 충돌 잔유물에서 소량 발견된 경우가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수백~수만 개의 탄소원자가 죽부인죽부인 형태를 이룬 결정이다. 아직도 연구 중이지만 현재 기술로는 몇 μm까지μm까지 길게 만들 수 있다. 또 구 모양이 아니라 원통형 모양인 것만것만 제외하면, 결정 속 원자 상태는 풀러렌과 비슷하다. 그래서 비슷하게 초전도 현상도현상도 나타난다.
탄소나노튜브는 중앙 구멍에 전자 파동이 형성되어 나노우물을 형성할 수 있다.있다. 나노우물은 대표적으로 LED와 반도체레이저가 만들어지는 원리로 사용된다. 따라서 평면에 규칙적으로 많은많은 수를 나열해 놓을 수 있으면 품질 좋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들 수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실제로 2010 년 9 월에 삼성이삼성이 2012 년까지 나노튜브를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하지만 시간이 너무 촉박하여 실험실에서 하나 만드는 것도 불가능할 것 같다.)
또,또, 탄소나노튜브는 강도가 매우 강해서 강철보다 질긴 밧줄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그래핀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그래핀은 앞서 설명한설명한 흑연의 한 층을 떼어낸 형태다. 1Å 정도 두께의 박막에 전자가 매달려매달려 돌아다니는 상태이다. 따라서 그래핀 결정의 전자는 다른 물질에서와 다르게 떼지어 몰려다니는몰려다니는 형태가 되고, 이런 와중에 각종 양자역학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양자역학 현상은현상은 그래핀을 반도체로 만들 수 있도록 만든다.
현재 산업에 이용되는 반도체는 어떤 종류든지 정공이나 잉여전자를 만들어 전기장으로 움직이게 만든다. 따라서 작동속도가 느리고, 전자가 많아야 작동한다. 트렌지스터보다 성능이 개선된 FET도 많은 전자가 필요하다. 작동에 전자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은 열 발생이 많아서 크기와 작동속도에 큰 제한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그러나 그래핀은 전자가 직접 움직이는 형태이고, 박막 두께가 원자 한 층이므로 작동속도가 이론상 기존 반도체보다 100 배 빠르고, 작은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
단전자 반도체가 가능할지는 두고봐야 하겠지만,하겠지만, 단전자 트랜지스터가 아니더라도 매우 적은 전자로 작동하는 반도체가 가능할 것이다. 얇으므로얇으므로 휜다고 깨지지도 않는다. 반도체 혁명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 이외에 매우매우 다양한 종류의 탄소결정이 발견되고 있다.

그래핀을 처음 만들었던만들었던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안드레 가임 교수와 연구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는 재미있고재미있고 간편하게 그래핀을 만들었다. 스카치테잎을 흑연(연필)에 뭍였다 띤 뒤, 다른 스카치테입에 여러여러 차례 붙였다 띠었다를 반복하여 흑연가루를 점점 더 얇게 만든다. 결국 흑연가루는흑연가루는 한 층만 남게 된다. 값비싼 실험기기로 무수히 많이 시도해도 만들어지지 않던않던 그래핀이 문방구에서 파는 학용품으로 만들어졌다니 참 재미있다. 그래핀은 이제 누구나 만들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제조법은 2010 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는 업적이업적이 되었다.


출처 : http://binote.com/105892

2010년 12월 5일 일요일

Display Preview (07 김은영)

"Display" -Preview-

1. 디스플레이 개론
정보디스플레이는 인간과 전자장치(electron devices)와의 정보교환을 행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말한다. 이 세상에서 가장 먼저 인류의 초창기 시절에 발명되었던 정보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로 거울이다. 거울은 빛의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박막을 투명한 유리의 한쪽 면에 부착시키고, 다른 한쪽 면에서는 앞면으로부터 들어오는 광신호를 반사시켜 줌으로써 나타나는 영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눈을 통하여 영상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영상기(project)와 렌즈를 이용하여 백색의 반사체 화면에 투사된 영상을 우리들에게 전달하여 줌으로써, 눈의 잔상효과를 이용한 동영상을 제공하기도 한다.
2. 디스플레이공학의 배경과 목적
오늘날 디스플레이라 함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만들어진 전자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여기에서는 CRT(Cathode Ray Tube) 이후의 평판형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제품에 극한하기로 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액정의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만든 TFT-LCD(Thin Fli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원리에 기반을 둔 PDP(Plasma Display Panel), 그리고 유기물 형광 물체의 발광에 기반을 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다.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확산되어 있으며 미래 산업 중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여겨지는 최첨단 기술집약적 산업이다.
3. 디스플레이공학과 기초학문과의 관계
위에서 든 세 종류의 디스플레이 기술 공학에 필요한 학문 영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원자의 구조, 분자의 구조, 유기화학, 폴리머: 일반물리, 일반화학, 현대물리
-트랜지스터(MOSFET), LED: 현대물리, 기초전자공학 등
* LCD 영역
-복굴절, 편광:광학
-분극, 유전율: 기초전자기학, 일반물리 등
* OLED 영역
-화학공학, 재료공학 등
* PDP 영역
-열역학, 플라즈마: 일반물리, 현대물리 등
4. LCD란?
노트북이나 다른 소형 컴퓨터들의 화면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LED나 플라즈마 기술들처럼, LCD도 CRT보다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LCD는 빛을 내뿜는 것이 아니라 빛을 저지하는 원리로 동작하기 때문에, LE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보다 전력소모가 적다.
5. OLED란?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LCD 이상의 화질과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가격경쟁에서 유리하다.
6. PDP란?
Plasma를 이용하여 문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특히 PDP에서는 글로우 방전을 사용하고 이러한 글로우 방전을 통하여 생성되는 진공 자외선이 Red, Green, Blue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참고문헌
물리학과 디스플레이공학/문창범(2008)
정보디스플레이공학/강정원 외 7인(2007)

2010년 12월 3일 금요일

태양 전지, 풍력 에너지, 핵융합 에너지

태양전지란?
태양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태양전지이다. 이 태양전지는 지금까지의 화학전지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 것으로 ‘물리전지’라 할 수 있다.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라고 하는 2종류의 반도체를 사용해 전기를 일으킨다.

태양 전지 발전의 우수한 특징
- 에너지원인 태양빛 에너지의 무한정성
석유, 석탄 등 화석 연료 자원에는 한계가 있지만 태양빛의 수명은 반영구적이고 연료비가 필요하지 않다.
- 깨끗한 에너지원
태양 전지는 빛을 직접 전기로 바꿀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발전 시스템과는 달리 석탄, 석유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한다거나 발전기를 돌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배기 가스와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소음도 없다.
-다양한 규모의 발전에 이용 가능
전자 계산기의 전원과 같이 작은 것에서부터 100kW 이상의 엄청난 전력의 발전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모두 태양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변환 효율도 거의 동일하다. 일반적인 화력이나 수력, 원자력 발전 등은 발전 규모에 따라 그 효율이 크게 변한다. 이와 달리 태양 전지의 변환 효율은 입사광의 강도가 변하더라도 그 규모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하다.
-사용하는 장소에서 발전
이전의 발전 시스템은 발전소와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가 떨어져 있어 송전이 필요했지만 태양 전지는 소비하는 바로 그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가정의 지붕에 태양전지를 설치하면 가정용 발전소로 가능하다.

태양 전지의 단점
-입사 에너지가 희박
태양빛 에너지는 무한하지만 에너지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큰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그만큼 큰 면적이 필요하다.
-기상 조건에 따라 발전량이 변한다
태양빛을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상 조건에 따라 태양전지의 출력이 변한다.
-축전 기능이 없다.
빛을 받고 있을 때에만 발전하고 전기를 축적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밤이나 비가 오는 날에 전기를 사용하려면 축전지와 조합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풍력에너지
풍력 발전의 개념 및 특징
풍력발전(Wind Power)이란 바람에너지를 풍력터빈(Wind Turbine)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적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풍력발전기는 이론상으로는 바람에너지의 최대 59.3%까지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날개의 형상, 기계적 마찰, 발전기의 효율 등에 따른 손실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용상의 효율은 20-40% 수준에 머물고 있다.

풍력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의 일종으로 자원이 풍부하고, 끊임없이 재생되며,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깨끗하며, 또한 운전 중 온실가스의 배출이 없다는 점에서 화석에너지 고갈 시에 대비한 유망한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는 에너지이다. 또한 풍력발전은 태양계의 자연에너지인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기 때문에 바람이 불 때에는 수요에 관계없이 반드시 전력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계통운용 측면에서는 분산전원으로 분류된다

풍력발전기의 구조
풍력발전기(WTG : Wind Turbine Generator)시스템은 주요 부품들 (Components)로 구성된 기계시스템, 전기 시스템, 그리고 풍력발전기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날개를 포함한 허브 시스템, 각종 기계, 전기, 제어장치를 탑재시킨 나셀(Nacelle), 그리고 이들 상부 중량물을 지상으로 부터 받쳐주는 타워시스템으로도 구분할 수도 있다.
기계 및 전기 시스템
바람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주는 회전날개(Blade)와 이를 주축(主軸)과 연결시켜 주는 허브(Hub)시스템, 날개의 회전력을 증속기 또는 발전기에 전달하여 주는 회전축(Shaft) 또는 주축(Main shaft), 회전속도를 올려 주는 증속기 (Gear box), 증속기로부터 전달받은 기계적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Generator), 제동장치인 Brake,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피치시스템, 날개를 바람방향에 맞추기 위하여 낫셀을 회전시켜 주는 요잉시스템(Yawing System), 그리고 풍력발전기를 지지하는 타워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
풍력의 제어시스템은 풍속에 따른 출력, 피치각, 로터와 발전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속도 및 출력 제어 시스템, 풍향과 제동장치, 회전방식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운전 상황 및 운전 모드 제어시스템, 전력계통과의 병렬운전을 제어하는 계통연계 제어 시스템, 풍력발전기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모니터링 하는 운전 및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풍력 발전기의 원리
풍력 에너지, 즉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회전자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으로 변환하고 이 동력을 이용하여 발전기 축을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는 장치를 통상적으로 풍력발전기라고 부른다. 회전자는 동력 발생 원리에 따라 양력형과 항력형 회전자로 구분 할 수 있다. 양력형에서는 회전자가 에어포일 형상의 단면을 갖는 날개인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이 블레이드의 주변을 흐르는 공기 유동에 의하여 블레이드에 발생하는 공기역학적 힘 중에서 양력을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얻는다. 항력형 회전자에서는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역학적 힘 중에서 주로 저항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풍력발전기는 회전자의 축 방향에 따라 수평축 형식과 수직축 형식으로 구분된다. 수평축 형인 경우 회전자가 회전자를 지지하는 수직탑의 상류에 있는 상류형과 회전자가 수직탑 하류에 있는 하류형으로 분리된다.

핵융합 에너지
핵융합이란?
높은 온도 높은 압력하에서 두 개의 가벼운 원소가 충돌하여 하나의 무거운 핵으로 변할 때 질량 결손에 의해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핵융합은 태양뿐아니라 모든 별에서 나오는 에너지의 근원으로 우주 에너지 생성의 근본이다. 태양의 에너지는 플라즈마 상태에서 수소끼리 결합하여 헬륨으로 변하는 핵융합반응의 결과이다. 핵융합 반응을 연쇄적으로 일으켜 폭발에 이르게 하면 수소폭탄이고, 이를 제어해 에너지화 하는 것이 핵융합발전이다.'핵융합 발전'은 가벼운 원자핵이 융합하여 보다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창출해내는 방법이다. 이에 비해 무거운 원자핵이 분열해서 가벼운 원자핵이 될 때 에너지를 내는 것은 '핵분열'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이다.

핵융합 에너지 연구
핵융합 에너지 연구는 동서냉전 초기였던 1950년대 초에 수소폭탄 개발과정에서 얻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시작됐다. 미국에서는 1951년 프린스턴대를 중심으로, 소련에서는 사하로프 박사의 주도로 진행됐다. 핵융합 연구는 초기의 예상과는 달리 자기장 속에 가둔 초고온 플라즈마의 불안정성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기술수준으로 인해 지속적인 연구에 비해 발전의 속도가 느렸다. 그러나 1968년 소련 과학자들에 의해 '토카막 장치'를 이용한 천만도 고온에서의 안정된 플라즈마 밀폐 결과가 발표되어 핵융합 연구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토카막은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 플라즈마를 그 안에 가둬놓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현재 세계 3대 핵융합 실험장치로 불리는 미국의 '토카막 핵융합 실험로(TFTR)', 유럽연합의 '유럽 공동연구 토러스(JET)'와 일본의 'JT-60U 토카막' 등과 같은 대형 토카막형 핵융합 실험시설이 건설되었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원 하에 미국, 유럽연합, 일본, 러시아의 공동협력 과제로 '국제 열핵융합 실험로'(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핵융합의 전망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에너지 전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각 국가들은 안정적인 석유와 천연가스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7%에 이르는 우리나라는 석유소비 세계 7위, 석유 정제능력 세계 5위, 전력소비 세계 12위의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이다. 화석연료의 가격은 해가 갈수록 급등하고 있어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근본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되는 핵융합에너지가 주목 받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첫 플라즈마 발생 성공 후 본격 가동에 들어간 KSTAR 장치를 통해서 장시간 플라즈마 발생 및 제어, 운전기술을 확보하는 중이며, 2020년대에 본격 가동할 예정인 ITER 장치를 통해서는 DT 핵융합 기술에 대한 공학적 검증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후 2030년대에 핵융합 반응을 통해 1000 MW 급 전기를 생산하는 DEMO(실증플랜트)의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 대략 앞으로 30~40년 후면 인류가 꿈꾸던 무한에너지의 시대를 맞이하지 않을까 기대된다.

2010년 12월 2일 목요일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투과전자현미경 : 고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얇은 시편에 입사되어 투과된 전자의 위상과 강도에 의하여 영상이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전자현미경에서의 광원은 높은 진공 상태(1×10-4 이상)에서 고속으로 가속되는 전자선이다. 전자선이 표본을 투과하여 일련의 전기자기장 electromagnetic field 또는 정전기장 electrostatic field을 거쳐 형광판이나 사진필름에 초점을 맞추어 투사된다. 이 전자의 파장은 가속전압에 따라 다르며 흔히 사용되는 전압(100 KV)에서의 전자파장은 0.004nm이다. 광학렌즈 대신 사용되는 자기장 magnetic field은 불완전하며 개구수 numerical aperture가 없다. 따라서 전자현미경의 이론적 분해능(해상력)은 약 0.001nm이나 생물학적 표본에서 사용되는 분해능은 약 0.2nm(side entry), 0.14nm(top entry)이다.


최근에 고전압(500∼1,000KV)을 사용하는 투과전자현미경이 개발되어 비교적 두꺼운 조직표본도 투과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찰이 가능해 졌으나 아직은 크게 활용되지 않고 있다.


전자현미경은 확대율과 해상력이 뛰어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는 세포 및 조직의 미세한 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보다 더 작은 구조도 볼 수 있다.


* TEM의 구성
1. Illuminating system(시편에 입사되는 전자빔의 양을 조절)
- electron gun
- condenser lenses

2. Specimen manipulation(얇은 시편의 방향을 조절)
- specimen stage
- specimen holder

3. Imaging system(영상을 형성하고 초점을 맞추고 배율을 조정)
- objective lens
- intermediate lens
- projector lens

* TEM 분석기법 종류
1. 영상관찰법 : 미세구조 관찰 및 결함 분석
2. 회절분석법 : 결정구조 및 상 분석
3. 분광분석법 : 화학조성 분석




A TEM image of the polio virus. The polio virus is 30 nm in size.